반응형

요즘 저는 일주일에 두번씩 뷔페에서 고가의 식사를 합니다. 없는 살림에 무슨 사치냐구요? 네. 사치라고 할 수 있겠지만 어쩔수 없지 저는 외식을 합니다. 이유는 바로 결혼식 때문인데요. 


오늘은 나이가 찰수록 모른척 할 수 없는 경조사의 필수 항목 결혼식 축의금 액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축의금 액수, 4만원, 6만원은 안되나?



축의금은 보통 홀수금액인 3, 5, 7만 원 홀수부터 시작하여 10만 원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축의금은 짝수로는 거의 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축의금을 홀수로 내는 것은 아주 오래된 관행인 듯 합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홀수를 길한 숫자로 봤는데, 좋은 일인 결혼식에도 3, 5, 7만 원 같은 홀수 금액으로 축의금을 내는 것은 그와 같은 이유입니다. 홀수 단위의 금액으로 성의를 담는 하객의 손길에 '더할 나위 없는 이 좋은 날, 영원히 이어지길~'이라는 마음을 담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합니다. 다만 10만 원처럼 딱 맞아 떨어지는 수는 가득 차는 숫자라 해서 예외로 친다고 하네요.



축의금 액수, 식대값도 비싸.


오만원권이 생기면서 5만원이 보통 축의금의 평균적인 금액이라고 하지만, 부담은 상당히 있는 금액이지만, 그렇다고 혼주들에게도 많은 돈일까요? 보통 혼주들은 하객에게 밥을 주는 것은 당연한 대접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미운 하객은 혼주가 예전에 5만 원을 했는데 3만 원만 돌아오는 경우라고 합니다. 하지만 몇년전에 5만원을 냈는데, 지금 이 시점에서 물가 인상률을 적용하지 않은채 같은 금액을 내고 아이들을 비롯한 가족들까지 다 데리고 와 식사를 한다면 물론 이익을 남기고자 하는 장사치가 아니라고 하지만 살짝 얄미럽습니다.


축의금 액수, 얼마가 적당하고 볼수 있을까?


저부터도 직장동료나 상하관계에 있는 축의금 액수에 대한 고민이 많은데, 직접 참석하지 않을 경우에는 3~5만 원 선에서 인편으로 보내면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결혼식에 참석하고 밥을 먹고 가는 경우에는 밥값까지 고려해야 겠지요?



요즘 객 1인의 식비를 2만5천 원~3만 원 선으로 잡을 때에도 5만원이 가장 무난하다고 볼 것 같습니다.저같은 경우는 친구들의 결혼식 축의금 전달은 직접 전달하는 하고 있는데, 그이유는 법원 판례에 따르면 결혼 축의금은 혼주인 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목적에서 주는 것이므로 혼주인 부모에게 귀속된다고 판결했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많은 돈이 들어간 부모님들의 상황도 이해하지만, 신랑신부 저의 친구들도 뒷풀이에서 또 신혼여행에서 필요한 현금을 만들어주는 센스도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상 축의슴 액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